자연건강과 아토피

빈혈(Anemia)

와빠시 2007. 5. 29. 22:00
빈혈(Anemia)
정의 (Definition)

빈혈은 순환혈액내 적혈구의 양이 조직내의 산소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할 만큼 감소된 경우에 나타난다. 즉 빈혈은 혈액검사에서 적혈구의 수 및 혈색소(Hemoglobin)의 양이 정상보다 적은 경우를 말한다. 혈색소의 양은 혈액 100g중 남성은 15.4g, 여성은 13.6g이어야 하는데, 남성은 13.5g 이하, 여성은 12g 이하가 되었을 경우를 빈혈이라고 한다.

빈혈은 남성이나 여성이나 모두 걸리며, 모든 연령층의 사람에게서 생기는 병이지만, 특히 여성의 경우는 월경, 임신, 출산, 수유 등의 생리적 변화가 있어 걸리기 쉽다. 또 80세 이상의 노인은 골수 기능이 쇠약해져서 생리적으로 빈혈이기 쉽다.

원인 (Cause)

빈혈의 원인은 매우 많다. 즉, 모든 질병에서 빈혈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①철결핍에 의한 경우
②비타민이나 엽산과 같은 영양소 결핍
③출혈
④골수기능 저하에 의한 경우 (재생불량성빈혈, 백혈병, 기타 악성종양)
⑤적혈구의 수명단축에 의한 경우 (용혈성빈혈)
⑥기타 염증성 질환, 간질환, 신질환에 이차적으로 수반되는 경우

증상 (Symptom)

빈혈의 증상으로는 외견상 안색이 나쁘고, 특히 얼굴, 입술, 잇몸, 눈의 결막, 손톱바닥이 창백한 것을 볼 수 있다. 두통, 현기증, 이명(耳鳴)이 있거나, 계단을 오를 때 가슴이 두근거리며 숨이 차기도 한다. 또 전신 권태감을 느끼고 손가락이 저릴 수가 있다. 심하면 어지러워서 서있을 수 없게 된다. 심장이 두근거리고, 호흡곤란, 수족냉증 등이 있다.

그 밖에 철분이 부족하여 빈혈이 생기면 입술이 트거나 손톱이 세로로 갈라지고 머리가 빠지는 경우도 있다.

치료방법 (Treatment)

빈혈의 치료는 원인과 정도에 따라 다르다. 단순한 철결핍성 빈혈이라면 철분공급으로 쉽게 교정된다. 수혈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한다.

[약물요법]-- 시중에서 판매하는 빈혈치료제도 원인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여야 하며, 원인에 따라서는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시중에 많은 철결핍 예방 목적의 약제가 치료용으로는 부적절하다는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치료목적으로는 하루 약 200mg 정도의 철분 복용이 적절하며, 흡수율을 더 높이기 위해 공복시에 투여하는데 만일 위장자극 증상으로 계속 복용하지 못하면 식후 즉시 복용한다. 철분제재는 혈색소가 정상이 된 후에도 6개월 정도 더 복용하여 체내 저장 철을 충족시키도록 한다. 주의할 점은 철겹핍 빈혈을 일으킨 원인 질환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원인을 밝히기 위한 검사를 먼저 하여 원인질환에 대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방목적으로는 임신 후반기나 성장이 빠른 시기에는 철분이 든 영양제 공급으로 철결핍을 예방할 수 있으며 위수술 후 비타민 B12를 공급하는 것도 거대적아구성 빈혈의 예방에 필요하다.

식사원칙

고열량식, 고단백질 식이를 한다. 헤모글로빈 생성을 위해 필수아미노산이 많은 동물성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철분을 많이 먹는다. 동물의 간, 육류, 생선, 가금류 등에 철의 함량이 높다. 곡류, 녹색 채소류에도 많으나 체내 이용율은 낮다.

적혈구 성숙에 필요한 비타민을 많이 섭취한다.
철이 흡수될 때 필요한 비타민 C와 조혈인자인 비타민 B12, 엽산이 함유된 식품을 많이 먹는다.

커피, 녹차, 홍차를 삼간다. 탄닌 성분이 철분의 흡수를 방해하므로 주의한다.

식품별 추천요리

-단백질 식품

어육류는 빈혈에 필수적인 식품으로 특히 동물의 간에 많다.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굴, 유제품에는 철 뿐 아니라 비타민 B12, 엽산도 풍부하므로 많이 사용한다. 계란노른자에도 철과 엽산, 비타민 B12가 풍부하다. 말린 콩에는 철분이 많다.

☞ 콩자반 / 순두부찌개 / 쇠간전 / 삼치구이 / 조개살 된장국 / 굴숙회 / 뱅어포구이

-탄수화물 식품
곡류 중 팥, 율무, 차조, 옥수수, 국수 등에 철분이 많고, 감자에는 철분과 비타민 C도 많다.

☞ 시루떡 / 콘플레이크 / 율무잣죽 / 조밥 / 비빔 국수 / 영양돌솥밥 / 수수떡

-비타민 및 무기질 식품

채소와 과일 중 비타민 C와 철분, 엽산이 많이 들어 있는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파슬리 등의 녹황색 채소와 건포도같은 말린 과일, 사과, 살구, 복숭아가 좋다.
【주의】엽산은 열에 파괴가 잘 되니 조리 할 때 주의한다.

☞ 오이도라지 생채 / 깻잎 나물 / 배추김치 / 꽈리고추멸치볶음 / 건포도푸딩 / 시금치무침

-지방 식품
땅콩, 호두, 잣, 참깨, 아몬드 등 식품에 철분이 많다.

☞ 땅콩버터 샌드위치 / 깨강정 / 땅콩엿 / 잣즙냉채


민간요법

녹용 (漢)鹿茸
보신하고 근육과 뼈를 강화한다. 부작용이 적고 부드러운 약으로서 그 사용 범위가 매우 넓다. 녹용 20g을 술 100㎖에 넣고 7-10일 동안 우려서 한 번에 10㎖씩 하루 3회 먹는다. 또한 녹용을 달여서 먹어도 좋다.

녹각교 (漢)鹿角膠, (同)백교(白膠)
뼈를 강화하여 혈액 생산 기능을 높인다. 1회에 10-15g씩 하루 3회 식전에 먹는다.

산조인 (漢)酸棗仁 (同)메대추씨
가슴이 두근거리고 수면장애가 있는 모든 빈혈에 좋다. 6g을 달여서 2회로 나누어 먹는다.

백실 (漢)栢實 (同)백자인, 측백씨
빈혈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땀이 나고 대변이 굳을 때 사용하면 좋다. 하루 10-18g을 달이거나 가루내어 3회로 나누어 먹는다.

녹반 (漢)綠礬
매회 0.45g씩 하루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주로 가루로 복용하고 달여서는 먹지 않는다. 철분이 부족하여 생기는 혈색소 감소성 빈혈에 주원료로 사용한다. 황산염류의 광물인 수록반 및 화학제품(황산아철)이다. 약용으로 가공하여 쓴다.

하수오 (漢)何首烏 (同)은조롱, 새박뿌리
정혈을 보하는 보약이다. 빈혈로 원기가 떨어졌거나 정혈이 부족해서 피가 모자랄 때 사용하면 좋다. 가루내어 1회 3-4g씩 하루 3회 식간에 먹는다.

황기 (同)단너삼
빈혈로 기운이 매우 없을 때 효과적이다. 하루 30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단삼 (漢)丹參
일반 빈혈에도 사용하고, 재생불량성빈혈로 인한 무력감 및 두통 등의 증상이 있을 때도 사용하면 좋다. 가루내어 1회 4-5g씩 하루 3회 먹는다.

영지 (漢)靈芝 (同)영지초, 불로초, 만년버섯
피를 보한다. 여러 가지 빈혈에 사용하고, 만성 간염이나 고혈압에도 활용한다. 달여서 하루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음양곽 (漢)淫羊藿 (同)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팔파리
신(腎)의 양기를 보하고 지혈한다. 재생불량성빈혈로 힘이 없고 두통이 있을 때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달여서 하루 3회로 나누어 먹는다.

당삼 (漢)黨參 (同)만삼
피를 보하고 기운을 나게 하며 온몸을 건전하게 한다. 빈혈로 적혈구수가 적어지고 무력감, 식욕부진, 두통 및 가슴의 답답함 등의 증상에 활용한다. 달여서 하루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애엽 (漢)艾葉 (同)약쑥잎
일반적인 빈혈에 효과가 좋으며,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에게 장기간(4개월 이상) 복용시키면 효과가 있다. 하루 10-15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삼칠 (漢)三七 (同)삼칠근
빈혈에 활용하면 좋다. 어혈을 풀어 지혈하는데도 사용한다. 볶아 가루내어 1회에 3g씩 하루 3회로 나누어 먹는다.

[출처]중앙건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