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와 경영, 전략

2007년 국내 10대 트렌드 -삼성硏

와빠시 2007. 9. 30. 23:36

2007년 국내 10대 트렌드 -삼성硏

 

1. 소득 2만 달러 시대 개막
ㅇ 원화가치 상승 등의 영향으로 ’05년 1만달러 달성 후 12년만에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돌파 전망
- 환율하락은 수출경쟁력 강화에 따른 경상수지 흑자 확대, 외국인 투자 유입 등 한국경제의 경쟁력 향상을 반영


2. 경기부진 속에 低투자·低고용 지속
ㅇ ’07년 한국경제는 상저하고(上低下高)의 성장 패턴을 보이면서 ’06년(5.0%)보다 낮은 4.3% 성장에 그칠 전망
ㅇ 저성장의 영향으로 일자리 창출(28만명 내외)은 30만명을 하회할 전망
- 원화강세에 따른 기업수익성 악화, 수출 둔화 등으로 설비투자(5.7%)도 전년(7.4%) 수준을 하회할 전망


3. 과잉유동성 축소와 가계부채 문제 표면화
ㅇ 지급준비율 인상(’06.12.23) 등 유동성조절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면서, 과잉유동성이 지속적으로 축소될 전망
* 과잉유동성 변화 : (’05.3/4)19.2% → (’06.3/4)8.8%
- 부동산시장이 조기에 안정되지 않을 경우 대출총량 규제, 콜금리 인상 등 추가 조치 가능성 존재
ㅇ 시장금리 급등·추가대출 제약 등으로 유동성이 급감하게 될 경우, 가계 이자 부담 가중 및 소비 둔화 우려
- 주택가격이 하락세로 반전될 경우 가계 및 금융부실 확대 우려


4. 제조업 구조조정 가속
ㅇ 수출채산성 악화 및 내수시장의 부진 지속에 따라 자동차·조선·철강 등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해외 이전이 증가할 전망
* 제조업 신설법인수(개社) : (’03)12,445→(’04)10,178→(’05)9,435→(’06.11)7,666
* 해외투자계획 : (현대)35억달러, (포스코)50억달러, (한진중공업)7,000억원
ㅇ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기업간 M&A도 활발히 전개


5. 기술경쟁력 G7 국가 진입
ㅇ 지속적인 R&D 투자와 기술 개발 노력에 힘입어 기술수준이 세계 7위권에 진입할 전망
* 기술경쟁력 주요 항목별 국가순위(’04∼’05년 기준) :
- 기술 : (1)미국, (2)일본, (3)독일, (4)캐나다, (5)호주, (6)프랑스, (7)영국, (8)한국
- 투자 : (1)미국, (2)일본, (3)독일, (4)프랑스, (5)영국, (6)한국, (7)캐나다, (8)호주


6. 산별 노조 확산에 따른 교섭부담 증가
ㅇ 대기업을 중심으로 노조의 산별전환이 증가하면서 교섭사항이 확대되고, 대규모 총파업이 조직적으로 전개되는 등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


7. 기업에 대한 정치·사회적 압력 가중
ㅇ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투명경영,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관련 여부가 경영활동의 중요 평가기준으로 부각
*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사회적 책임에 관한 가이드라인 ‘ISO 26000’을 ’08년까지 제정·공포할 계획
* 우리정부도 ‘산업발전법 개정안’(’07.1.3)과 ‘사회적 기업 육성법안’(’06.7월) 등을 통해 국내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독려
ㅇ 펀드 자본주의의 확산으로 이해관계자의 全方位 압력이 증대되어 한국기업의 경영행태가 더욱 보수적 기조를 보일 우려


8. 사회전반의 안전희구 성향 강화
ㅇ 경제성장 둔화 및 고령화 등으로 노후 및 고용 불안 해소를 위해 안정적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화
* ’06년 취업 준비자(53만명) 중 22만명(40.6%)이 7·9급 공무원 시험 준비 중
ㅇ 안전희구 심리로 중저가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는 등 실리위주의 소비트렌드가 확산
- IT부문에서는 디버전스(divergence) 제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할 전망


9. 대선과 사회갈등 표출
ㅇ 17대 대통령 선거(’07.12.19)를 향한 정치 일정이 진행되면서 경제·사회적 의제 논의 과정에서 정책의 일관성 유지나 신속한 의사결정이 차질이 발생할 우려
- 부동산, 한미FTA, 양극화, 대기업 정책, 북핵문제, 청년실업 등 정책 쟁점에 대한 보수와 진보 진영의 대립이 첨예화
* 정부제출 법률안 가결률 추이(%)
- (88∼92)87.2→(92∼96)92.4→(96∼00)81.7→(00∼04)72.4→(04∼06)40.0


10. 북핵 문제로 한반도 위기 점증
ㅇ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 인정 요구로 6자회담의 난항이 예상
ㅇ 북한이 추가적 핵실험, 미사일 시험발사 등을 감행할 경우 북핵 위기가 다시 고조될 전망

 

-- 이 시기쯤에 한번 되새김질해보기...ㅋㅋ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