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건강과 아토피

동서양 의학의 범위에서 본 대체의학의 일반적 의미

와빠시 2007. 5. 29. 22:05
 

동서양 의학의 범위에서 본 대체의학의 일반적 의미


“대체의학(Alternative Medicine)”이라는 용어자체는 매우 서양의학 중심적인 사고에서출 발했습니다. 매우 자기 중심적인 서구인들의 판단에서, 정통 서양의학이 아닌 의학의 개념들과 각 민족 고유의 전통 의학들을 뭉뚱그려 대체의학, 또는 보완의학(Complementary Medicine)이라는 정의를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정립 되어진 한의학이 오히려 역사가 더 긴 정통의학입니다.
글 / 전세일 (차병원 대체의학 병원장)

 

한의학을 대체의학의 안에서 정의 할 때 한의학과 서양 정통의학이 빠진 기타 분야가 대체의학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양에서 정의한 대체의학에서 가장 큰 부분은 동양의 한의학을 지칭하는 것임으로 이로인한 용어의 정리에 많은 난점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에서는 새로운 용어를 시행하여야 하는 필요성은 매우 절실합니다.

그러나 이미 10년이상, 대체의학이라는 용어가 전 세계로 퍼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기존 대체의학이라는 용어는 서구의 정의에 입각하여 소개하기로 하겠습니다. 앞으로 통합의학(Integrative Medicine, Integrated Medicine, HolisticMedicine)등 동, 서양, 대체의학의 모든 부분이 만나서 인류의 건강을 위한 발전이 궁극적으로 달성되어야 하지만, 그 접근에는많은 조심과 사려깊은 연구, 검증등을 통해 미래의학의 기틀을 마련해야 하겠습니다.


한가지 꼭 짚고 가고 싶은 부분은 이 대체의학이 어느 날 갑자기 생긴 것도 아니려니와, 서양에서 발달이 되어 우리가 받아들이는 의학도 아니라는 점입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로 미국만을 보더라도 엄청난 연구와 노력이 이 분야에 쏟아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우리가 노력을 안 한다면, 심지어는 한집안의 안방을 내어주는 상황 (한의학과 그 관련분야 조차 거꾸로 수 입하는현상)이도래할지도모르는형편입니다.

 

그러나그럼에도엄밀하게보자면, 동양의철학이배어있는 한국인들이그동안익힌서구의연구방법을응용하여, 어쩌면더폭발적인힘으로이분야의연구에가장선 봉을지배할가능성이더크고확실하다고말씀드리고싶습니다.

 

김정문알로에 2007년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