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의 운동 처방지침
◎ 고혈압과 운동
고혈압은 당뇨병과 더블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성인병으로 혈압이 높다는것 자체가 위험요인이 되지만 뇌졸중,심부전,신부전,등 합병증을 유발케 하며 만성적으로 이어져 완치가 어려운 질병이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며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있어야한다.세계보건기구(WHO)가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고혈압 환자들에게 운동이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고혈압 환자의 경우 운동부하검사 및 체력검사 과정에서 혈압이 지나치게 상승할수 있으며,더욱이 합병증을 동반한경우 운동이 오히려 증세를 악화시킬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운동전 정밀검사와 구체적 운동지침 및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1) 운동종류
유산소운동을 원칙적으로 권장하며 걷기나 조깅과같은 동적이며 전신적운동은 확장기 혈압을 떨어뜨린다고한다.반면에 무거운 기구를 이용하는 중량운동은 정적,등척성 운동이 되어 운동중의 확장기 혈압이 상당히 상승하기때문에 오히려 혈압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 할수 있으므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또한 호흡을 정지한 상태에서 행하는 무산소성 운동 또는 등척성 운동은 삼가한다.
2) 운동강도
유산소 운동에 있어서 운동강도는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에 주어지는 부담으로서 고혈압 환자에게 매우중요한 요소이다.고혈압 환자의 경우 건강인에 비해 더 낮은 강도에서 운동할것을 제안하며 40 ~70% VO2 max범위를 제안하고있다.환자의 상태에 따라 운동강도가 조정이 있어야 하며 운동시 수축기 혈압이 200mmHg 이상 올라가는 강도높은 운동은 금지한다.
3)운동시간 및 시간대
운동의 양과 운동의 질은 반비례 관계로 운동시간은 운동종류 및 강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대부분의 고혈압 환자들이 운동부족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저강도의운도이라도 운동시간을 무리하게 연장할수없다.
따라서 운동초기에는 운동시간을 15~45분으로 정하는 것이알맞으며,점차로 운동에 적응되고 체력이 향상되면 운동시간을 <st1:time o_x003a_ls='trans' hour='13' minute='0'>1시</st1:time>간 정도 까지 늘리도록 한다.대개 약 50% VO2max 강도의 운동으로 300Kcal의 열량을 소비시키려면 60분 정도의 운동시간이 소요되는 셈이다.
운동실시 시간대가 정해져 있는것이 아니지만 고혈압환자의 경우 대개오후운동을 권장하며 특히 추운겨울의 새벽운동은 삼가한다.
4) 운동빈도와 총운동량
심혈관계에 주어진 자극이 소멸되지 않도록 하기위해서는 일주일에 3~5일정도실시하는것이이상적이며 운동프로그램이진행되면서 심폐기능의적응정도에따라운동빈도를 조정한다.
또한운동프로그램이 혈압감소 효과가 얻어지려면 6~8주간 이상을 지속적으로 실시할것을 권장한다.
고혈압환자에게서 혈압강하 효과가나타나려면 1,000분 정도의운동시간이 누적되어야하며,자전거 에르고미터운동을 약 50% Vo2max강도로 1회 60분 씩 주3회운동하였을때 6주정도가 소요된다.
# 용어 정의
*Vo2max(maximal oxygen uptake)최대산소섭취량 :운동중에 산소를 운반하고 이용할수 있는 최대능력,운동강도를 표현하는 반응지표.
정리 / 코어메드 운동처방사
'자연건강과 아토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건강 식품 - 된장 (0) | 2007.05.29 |
---|---|
고지혈증의 운동처방 (0) | 2007.05.29 |
기관지 천식과 운동 (0) | 2007.05.29 |
“천식”을 다스리는 식이요법 (0) | 2007.05.29 |
알로에 재배법 (0) | 2007.05.29 |